한국학교보건협회 사업 소개

___

한국학교보건협회에서 진행하는 중요 사업을 소개합니다.

건강 증진 프로그램

01

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목적

AI 스마트바디체커와 족저압 분석은 불균형 체형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데 활용되며,

이를 통해 각 학생에게 맞춤형 체형 교정 운동을 제시합니다.

또한, 소변검사 7종은 체형분석 후 진행되어 건강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.

AI 스마트바디체커와 족저압 분석은 불균형 체형을 측정하고

분석하는 데 활용되며,

이를 통해 각 학생에게 맞춤형 체형 교정 운동을 제시합니다.

또한, 소변검사 7종은 체형분석 후 진행되어

건강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.

02

건강, 체형 측정 및 분석

AI 스마트바디체커 Body Checker

– 기능: 정확한 체형 분석

측정 항목: 거북목, 라운드숄더, 척추측만증,

   골반불균형 등

족저압 분석 Balance Checker

– 정적 족저압 측정: 압력 분포, 아치 인덕스 등

동적 족저압 측정: 보행 분석

소변검사 7종

– 검사 항목: 단백, 당, 간기능, 잠혈, 케톤체,

   백혈구, 아질산염

목적: 체형 불균형과 연관된 건강 상태 점검

03

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방안 제시

건강, 체형 측정 결과에 맞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 등을 제시합니다.

04

기대 효과

체형교정 효과

체형측정 전후의 변화 : 체형교정 전후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개선된 체형정도를 평가합니다.

학생들의 만족도 : 운동프로그램과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설문조사로 평가하여 개선점을 파악합니다.

건강상태 개선

소변검사 및 생리검사 결과 : 불균형 체형과 관련된 건강문제의 개선여부를 소변검사 결과로 평가합니다.

학생들의 건강지표 : 체중, BMI(체질량지수), 심박수등의 데이터를 통해 건강증진 효과를 평가합니다.

프로그램 참여도 및 효과

참여 학생 수 :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를 기록하고, 이를 바탕으로 전체 참여율을 분석합니다.

지속적 참여율 : 학생들이 체형교정 운동을 정기적으로 참여하는지 확인하고, 후속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 여부를 파악합니다.

학교와 교과과정 연계

체육 및 보건교과와의 연계 : 학교에서 진행하는 체육, 보건수업과 연계하여 체형교정 운동을 캠페인 형식으로 고착화 합니다.

캠페인 효과 : 학생들의 참여율을 높이고, 장기적으로건강한습관을학교생활의일부분으로만듭니다